실업급여 실수령액을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돼요. 일반적으로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지급받는 금액이에요. 아래는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이에요.
Contents
실업급여 월 평균 임금 확인
먼저, 실업급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최근 3개월의 월 평균 임금을 확인해야 해요. 이 금액을 기준으로 실업급여가 결정되죠.
실업급여 기준액 계산
기본적으로 실업급여는 월 평균 임금의 50%에서 시작해요. 하지만 최대 한도도 있어요. 2023년 기준으로 최대 1일 지급액은 약 66,000원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해요.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
실업급여 계산기를 사용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해보세요. 아래의 정보를 입력해야 해요.
- 최근 3개월 평균 임금
- 가입 기간 (고용보험 가입 기간)
- 실직 사유 (자발적 퇴사, 비자발적 퇴사 등)
실업급여 실수령액 산정
계산기를 통해 나오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보세요.
- 지급기간: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지급 기간이 다르니 확인해야 해요.
- 세금: 실업급여는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다른 수당과의 합산으로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실업급여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하기
실업급여 연도별 상한액 및 하한액
구분 | 상한액 | 하한액 |
---|---|---|
23년 1월 이후 | 66,000원 | 61,568원 |
19년 1월 이후 | 66,000원 | 60,120원 |
18년 1월 이후 | 60,000원 | 54,216원 |
17년 4~12월 | 50,000원 | 46,584원 |
17년 1~3월 | 46,584원 | 46,584원 |
16년 ~ | 43,416원 | 43,416원 |
실업급여 지급기한
(이직일 – 2019년 10월 1일 이후)
연령 및 가입기간 | 50세 미만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이직일 – 2019년 10월 1일 이전)
연령 및 가입기간 | 30세 미만 | 30세 이상 ~ 50세 미만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
1년 미만 | 90일 | 90일 | 9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90일 | 120일 | 15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20일 | 150일 | 180일 |
5년 이상 ~ 10년 미만 | 150일 | 180일 | 210일 |
10년 이상 | 180일 | 210일 | 24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