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쿠팡 파트너스 수수료를 제공받아 운영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또한 이 포스팅은 애드릭스 수익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눈길 사고 시 과실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은?

눈길 교통사고 발생 시 보험사와 합의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과실 여부를 따져봐야 합니다. 특히 블랙아이스 현상 등으로 인해 도로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라면 더욱 주의해야 하는데요. 최근 금융감독원에서는 ‘겨울철 자동차보험 과실비율 인정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을 토대로 겨울철 안전운전과 관련된 주요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눈길 사고 시 과실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

과실 비율 조정 방법설명
보험사 사고 접수사고 발생 후에는 먼저 보험사에 사고 접수를 해야 합니다. 보험사는 사고 경위를 확인한 후, 사고 상황에 적합한 과실 비율을 산정하여 보험 처리를 진행합니다.
분쟁심의위원회 신청보험사에서 산정한 과실 비율에 불만이 있는 경우, 분쟁심의위원회에 과실 비율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분쟁심의위원회는 사고 당시의 구체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과실 비율을 재판정합니다.
눈길 사고 시 과실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




블랙아이스란 무엇인가요?

도로 위에 쌓인 눈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서 얇은 빙판길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스팔트 표면의 작은 틈 사이로 스며든 습기가 밤사이 얼어붙어 생긴 얼음막인 셈이죠. 기온이 갑자기 내려갈 때 주로 발생하는데,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워 운전자들이 쉽게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자동차 바퀴자국이 있으면 무조건 피할 수 있나요?

바퀴자국(스키드마크)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차량 간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스키드마크는 미끄러지는 속도나 방향을 알려주는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따라서 노면상태 및 전방주시 태만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바퀴가 헛돌면 무조건 100%인가요?

바퀴가 헛돈다고 해서 무조건 100%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일단 앞차와의 간격이 너무 좁거나 뒷차가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돌진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었던 사고이기 때문에 10~20%가량의 과실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엔 블랙아이스나 미끄럼 방지 시스템 등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한 사고이므로 차주에게 80% 이상의 책임이 있다고 하네요.




교차로 진입 중 앞차와의 간격이 좁았는데 급정거하면 뒷차도 책임이 있나요?

앞차가 급제동하더라도 뒤따르는 차량은 이를 피하기 위해 제동장치를 밟아야 하고, 이로 인해 연쇄추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후방차량 역시 전방주시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일부 과실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미끄럼 방지 장치(ABS) 장착 여부가 중요한가요?

일반적으로 ABS 장치는 급제동 상황에서 브레이크가 잠기지 않도록 하는 제동 보조 장치이지만, 미끄러운 노면에선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차종 가운데서는 일부 모델에만 적용되어 있지만, 만약 없다면 반드시 보험사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해 점검받는 게 좋습니다.



관련자료 함께 읽어보세요!

과실비율정보포털 바로가기!

물피 교통사고를 당하셨나요? 교통사고시 탑승자 이동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교통사고 보상, 과연 얼마까지 해야 할까요?

교통사고 후 한방병원 입원방법 총정리!

교통사고 발생시 상대방 블랙박스, 보려면 이렇게!

교통사고 차량 감가상각 보상받는 방법이 있어요!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한문철씨는 “과실비율 산정은 매우 어려운 문제”라며 “자신의 잘못이 없다고 판단된다면 소송을 제기하거나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에 민원을 넣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gunsoulTV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