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습 지원금이란? 직업계고 3학년 학생이 고교취업연계 장려금을 신청한 후 현장실습을 지원하면 최대 360만원을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사항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Contents
현장실습 지원금 신청일정
- 사전신청: 2023년 6월 19일(월) ~ 2023년 8월 31일(목) 18:00까지
- 본신청: 2023년 하반기 예정
신청방법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내 신청횟수 제한은 없습니다.
직업계고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 이수자는 꼭 현장실습 지원금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현장실습 지원금 지원대상
현장실습 지원금
지원대상 | 국내 직업계고 3학년 학생 중 현장실습 지원금을 신청한 자 |
지원 요건 |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에 참여하고 ‘현장실습 표준협약서’를 작성한 현장실습생 |
현장실습 유형 | 교내 활동: 교내 현장실습 (1~3학년) 산업현장 전문가가 학교로 찾아가 지도하는 현장실습 교외 활동: (3학년) 산업체 체험형 현장실습: 산업현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는 현장실습 * 견학, 체험활동, 취업캠프 등 연계 교육형 현장실습: 교육기관, 훈련기관, 실습장, 기업 등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현장실습 * 공동실습소, 폴리텍,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전문대학 등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 산업체 채용을 전제로 해당 기업에서 직접 활동하는 현장실습 |
현장실습 유형
교내 활동: 교내 현장실습 (1~3학년)
산업현장 전문가가 학교로 찾아가 지도하는 현장실습
교외 활동: (3학년)
산업체 체험형 현장실습: 산업현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는 현장실습
* 견학, 체험활동, 취업캠프 등
연계 교육형 현장실습: 교육기관, 훈련기관, 실습장, 기업 등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현장실습 공동실습소, 폴리텍,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전문대학 등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 산업체 채용을 전제로 해당 기업에서 직접 활동하는 현장실습
현장실습 지원금 신청 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장학금 안내’ 메뉴에서 ‘현장실습 지원금’을 클릭합니다.
-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을 확인합니다.
-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
현장실습 지원금 지원 내용
구분 | 내용 |
---|---|
지원금액 | 1일 기준으로 총 60,000원(국고 30,000원 + 교육청 30,000원) |
지원기간 |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을 60일 이상 이수할 경우, 최대 60일까지(최대 360만 원(국고 180만 원, 교육청 180만 원)만 지원 |
신청 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 |
지원금 지급 불가 | 예산 소진 시 지급 불가 참여 학생이 속한 지역의 교육청에서 예산을 지원하지 않을 시 국고(30,000원)만 지원 국가 및 시도교육청의 예산 편성 규모에 따라 일부 조정 가능 현장실습 종료 후 학교에서 최종 확정한 실습일자를 기준으로 지원 |
기타 | 직업계고 3학년 학생이라면 현장실습 지원금을 신청하여 실습비를 지원받아 보세요! |
현장실습 지원금 신청 절차
현장실습 지원금 학생
신청 전 절차:
-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 이수
- 하이파이브 시스템 내 현장실습내역 등록
- 학교의 실습일 확정 필수
신청 절차: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서비스이용자 등록
- 현장실습 지원금 신청서 작성
- 현장실습내역 등록 및 확인
- 최종 신청 완료
한국장학재단
- 대상자 심사 및 선발
- 현장실습 지원금 수혜자격 여부 심사 및 지원금 산정
- 현장실습 지원금 지급
- 심사통과자의 본인 명의 계좌로 지급
- 단, 예산 조기 소진 시 지급 불가
현장실습 지원금 지급 및 사후관리
현장실습 지원금 지급
- 산업체 채용형 현장실습 이수자인 최종 심사통과자 본인 계좌로 지원금 지급
- 지원 우선순위: 예산 제약 시, 재단 홈페이지 기준 최종 신청이 빠른 순으로 지급
- 단,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www.hifive.go.kr)에서 현장실습 종료 내역이 확인이 된 대상자를 기준으로 하며 예산 조기 소진 시 현장실습 지원금 지급 불가
반환 및 환수
- 부정수급 시 지원금 반환 및 환수